마음의 종교 마음의 종교 불교는 마음의 종교이자 오늘의 종교입니다. 마음은 모든 일의 근원이 되고 모든 이치의 주체가 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유는 행복과 자유를 위해서입니다. 자유과 행복은 살아있는 모든 사람들이 이루고자하는 꿈과 희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8.20
관음기도의 방법 관음기도의 방법 불법의 요채는 신해행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믿고 이해하고 행동하고 바르게 했는가를 돌이켜보는 것이 신해행증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반복이 될 때 불법의 올바른 신행 행위가 됩니다. 처음 불교를 접하는 초심자들은 무조건 신(信) -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8.19
불교의 보배 세 가지 - 불.법.승 삼보란? ① 불보 불교의 첫번째 보배는 부처님입니다. 부처란 깨달음을 성취한 각자(覺者)를 뜻합니다. 불보에는 깨달음을 성취한 모든 부처님, 즉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롯하여 과거, 현재의 부처님뿐 아니라 앞으로 깨달음을 얻을 미래의 모든 부처님까지도 포함됩니다. 보배중의 보배인 부..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8.13
천수경 강의 천수경 강의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심약멸시죄역망(心若滅是罪亦忘) 죄망심멸양구공(罪忘心滅兩俱空) 시즉명위진참회(是卽名爲眞懺悔) 죄란 자체의 성품이 없는 것이며 마음으로부터 일어난다. 만약 마음이 소멸되면 죄업 또한 소멸 된다. 죄업과 마음이 모두 공해지면 이것..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8.12
불교의 효사상 불교의 효사상 불교는 타종교와 마찬가지로 그동안 불효의 종교라는 비난을 받아 왔습니다. 맹자가 말하기를 “불효가 셋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자손을 못 낳아 조상의 대를 끊기게 하는 것이 제일 크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관념으로 보면 출가는 곧 불효라고 인정되어 불교는 효 ..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8.09
2. 십악참회(十惡懺悔) 십악참회(十惡懺悔) 백겁적집죄(百劫積集罪) 일념돈탕진(一念頓蕩盡) 여화분고초(如火焚枯草) 멸진무유여(滅盡無有餘) 오랜 세월 쌓인 죄업, 한 생각에 없어지니 마른풀이 타버리듯 남김없이 사라지네. 천수경 공부를 시작하면서 뜻도 모른 채 무작정 봉독하지 말고 그 뜻을 올바로 이해..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6.17
1. 십악참회(十惡懺悔) 십악참회(十惡懺悔) 우리가 짖는 많은 악업 가운데 신·구·의 삼업에 해당 되는 열 가지가 바로 십악업(十惡業)입니다. 이 십악업을 참회하고 그와 정반대로 선행을 하게 되면 결국 십선업(十善業)이 됩니다. 십악에 대하여 불자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그것을 참회하고 선..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6.17
열반의 길, 피안의 길 열반의 길, 피안의 길 불법이 필경 이를 곳은 열반입니다. 모든 성현이 여기로 돌아오고 이곳에서 출발합니다. 우리 중생은 필경 열반으로 통하는 길을 향하여 발심하고 정진해야 합니다. 열반은 죽음이 아니라 죽음이 없는 곳이니 즉 영원한 삶, 완전한 자유, 무한한 창조, 이것이 열반인..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6.15
참회(懺悔) 참회(懺悔) 참(懺)은 산스크리트어 크사마(ksama)의 음역으로 용서를 청하는 것이며, 회(悔)는 크사마(ksama)의 의역으로 후회하는 것을 뜻합니다. 참회는 과거로부터 지어 온 잘못은 물론 현재 살아가면서 지은 모든 잘못과 허물을 뉘우치고 또 다시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다고 부처님 앞에 맹세하는 것을 참회라고 합니다. 또한 상대에게 잘못을 했을 때 용서를 비는 것도 참회라 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참회를 매우 종요하게 생각합니다. 불교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계율(戒律)이 있습니다. 계율은 다른 사람에 의해 규제되는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다스리는 자율적인 것이기 때문에 자신을 속이는 일을 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불교에서는 참회하고 나서 자신의 원을 세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참회에서..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5.31
인연 인연(因緣) 세상 모든 것은 다만 인연(因緣)따라 왔다가 가는 것입니다. 홀로 독립된 실체는 있을 수가 없습니다. 인연(因緣)을 다른 말로 연기(緣起)라 합니다. 연기는 인연생기(因緣生起)를 줄여서 말한 것으로, 무수한 원인에 의해서 결과가 생기는 원리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모든 ..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5.19
무상(無常)이란? [무상은 불교의 인생관] (4월 보름 ) 무상(無常)이란? [무상은 불교의 인생관] '무상(無常)'이란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항상 하는 것이 없다.' 즉 '고정 불변하는 것이 없다.'는 말로써, 이세상의 모든 것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이 자꾸자꾸 변해간다고 하는 의미입니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제해무상(諸行無常)' 이라..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7.05.10
참회게(懺悔偈) 참회게(懺悔偈) 아석소조제악업 (我昔所造諸惡業) 개유무시탐진치 (皆由無始貪瞋癡) 종신구의지소생 (從身口意之所生) 일체아금개참회 (一切我今皆懺悔) 이 게송은 <대방광불화엄경>에 <보현행원품>에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참회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참회란 언제나 자기의 잘..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11.22
도량찬 <道場讚> 도량찬《道場讚》 도량청정무하예《道장淸淨無瑕예》 삼보천룡강차지《三寶天龍降此地》 아금지송묘진언《我今持誦妙眞言》 원사자비밀가호《願賜慈悲密加護》 도량찬이란 도량을 찬탄하는 사구게 입니다. 도량이란 부처님을 모시고 계신 곳입니다. 어디나 다 도량이 아닌 곳이 없..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11.22
사방찬 (8월 초하루)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二灑南方得靑凉) 삼쇄서방구정토(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四灑北方永安康) 〈사방찬〉은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찬탄하는 구절입니다. 즉〈신묘장구대다라니〉로서 관세음보살의 위력을 우주에 두루 충만해 있..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9.04
무재칠시(無財七施) 보시의 종류 보시란 남에게 무엇인가를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입 보시에는 흔히 세 가지형태의 보시가 있습니다. <대지도론>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를 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법시란 진리를 모르고 무명 속에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말합..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8.06
우란분재일 우리 마음자세 (6월 보름) 우란분재일 우리 마음자세 요즘은 어느 때 보다도 효가 절실히 필요한 시대입니다. 효도는 모든 선행의 근본이 되는 것으로 효가 땅에 떨어지면 아무리 문화와 문명이 발달한다고 해도 그러한 사회는 짐승의 사회나 다를 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요즘 현실을 살펴보면 옛날처럼 효도하..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19
부모님의 은혜 (백중초재) [부모님의 은혜] 우리 불자들은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은혜가 있는데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종대은 명심불망(五種大恩 銘心不忘)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말아야 하는 다섯 가지 은혜 各安基所國王之恩(각안기소국왕지은) 평화로운 삶의 터전 지켜주신 국가은혜 生養劬勞..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06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多羅尼) 위신력. (6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多羅尼) 위신력. (6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위대하여 영험과 가피가 반드시 따르게 됩니다. 말 그대로 신기하고 묘한 가피가 있는 다라니경이기 때문입니다. 불자라면 불교에 처음 접하는 분들도 한번쯤 들어본 경전이 바로 수리수리 마하수리로 시..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05
신묘장구 대다라니, 천수경의 심장 (오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의 심장 천수경의 가장 핵심이 되는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음보살의 위신력, 지혜, 자비, 과거의 행적, 관세음보살의 여러 가지 모습 등이 담긴 천수경의 심장부에 해당됩니다. 즉, 천수경의 핵심이며 안목을 나타낸 부분이 바로 신묘장구대다라니인 것입니..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6.20
천도재(薦度齋)란 무엇인가. 천도재(薦度齋)란 무엇인가. 천도재란 사람이 죽어 그 영혼이 내생(來生)의 좋은 곳에 다시 태어나도록 그 가는 길을 안내하고 인도하며 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이끌어주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천(薦)은 천거함을 의미하고 도(度)는 가는 길 또는 가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또한 천도재..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6.19
기도에 임하는 마음 기도에 임하는 마음 첫째, 기도에 임하는 사람은 큰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기도하는 사람은 기도하는 대상과 공덕 즉, 관음기도하는 사람이라면 관세음보살과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철저히 믿어야 됩니다. 아무리 어려운 기도라도 확신을 가지고 열심히 하면 반드시 이루어질 것입니다. ..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