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 불교대학/♣ 불교대학 강의실 8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7월 2일 수업 발심(發心)은 발보리심의 준말이고 수행 (修行)은 수도(修道)의 다른 표현(表現)입니다. 장(章)은 문장이라는 말입니다.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은 총 670자로 된 운문(韻文)입니다. 해동사문(海東沙門) 원효(元曉) 술(術) [분황사 사문 원효 술] 스님 법호는 원효(元曉) 새벽을 밝히다. 서기 617년에 출생하여 686에 70세 일기로 열반 신라(新羅)의 [김춘추]와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을 주도하며 고구려(高句麗)의 [연개소문], 백제(百濟)의 [의자왕]과 치열한 접전을 벌이던 절체절명의 시기, 원효는 왕실과 권력층을 향해 전쟁반대(戰爭反對)를 선언합니다. 전쟁으로 고통 받는 민중의 삶을 보살피는데 진력하시면서 삼국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역설하신 ..

오욕(五慾)

오욕(五慾)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 욕심 중에서 다섯 가지의 욕심을 오욕(五慾)이라 합니다. 오욕(五慾)이라 함은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행복 하고 싶어 합니다. 여러분의 삶은 행복하신가요? 행복 하고 싶으시죠? 그런데 그 행복은 어느 때 느껴지나요? 대체적으로 모든 사람은 오욕락이 채워지는 순간 행복감을 느낍니다. 즉 맛있는 것 먹을 때, 돈이 생길 때, 남에게 칭찬이나 존중을 받을 때, 이성과 좋은 관계일 때, 수면에 잠길 때 등의 오욕락(五慾樂)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 오욕락의 속성을 모른다면 오히려 행복하려다가 오히려 불행해 질 수도 있습니다. 오욕락은 불과 같습니다. 불은 우리를 따듯하게 만들고 음식을 더 맛있게 먹을 수 있게 하며, ..

삼 독(三 毒) : 탐욕(貪欲), 분노(瞋厓), 어리석음 (愚痴)

삼 독(三 毒) : 탐욕(貪欲), 분노(瞋厓), 어리석음 (愚痴) 인간의 지혜를 어둡게 하는 세 가지 요소 탐(貪) ; 분수에 넘치게 색, 성, 향, 미, 촉의 오경을 욕심내어 만족할 줄을 모르는 것. 탐애(貪愛), 탐착(貪着), 탐욕(貪欲) 진(瞋) ; 근본 번뇌 진애라고 함 자기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에 대하여 미워하고 분 한 마음을 내는 것, 무명 (無明)무지 (無知) 치(痴) ; 삼라만상의 이치와 도리에 대하여 어두운 것, 연기의 도리를 알지 못하는 것. 우치(愚癡) 미혹(迷惑) 아함경[阿含經] “십악업이 사라진 궁극적인 상태는 탐,진,치 사라진 상태이다. 팔정도의 수행이 궁극에 이른 경지는 탐, 진, 치가 사라진 상태이다. 열반이란 탐욕이 영진하고, 진애가 영진하고, 우치가 영진한 것이니 일체..

공사상(空思想)

공사상(空思想) 공사상(空思想)은 인간을 포함한 일체만물에 고정불변 하는 실체가 없다는 불교의 근본교리입니다.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사물들은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생멸하는 존재이며, 고정불변 하는 자성(自性)이 없습니다. 사물은 단지 원인과 결과로 얽힌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무아(無我)이며, 이것이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위대한 진리입니다. 불교를 말할 때 그 근본교리로서 주로 삼법인(三法印) 또는 사법인(四法印)을 말합니다. 삼법인이란 일체개고(一切皆苦),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이며, 여기에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더하여 삼법인이라고도 합니다. 이 삼법인은 불교 교리의 근본적 특징이므로 이것과 합치하지 않으면 불교가 아닙니다. '모든 것이 괴로움[一切皆苦]'이라 하는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