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배우기/♣ 법문

1. 십악참회(十惡懺悔)

아산 보문사 2017. 6. 17. 12:34





십악참회(十惡懺悔)

 

우리가 짖는 많은 악업 가운데 신··의 삼업에 해당 되는 열 가지가 바로 십악업(十惡業)입니다. 이 십악업을 참회하고 그와 정반대로 선행을 하게 되면 결국 십선업(十善業)이 됩니다. 십악에 대하여 불자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그것을 참회하고 선한 행동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첫째. 살생중죄 금일참회(殺生重罪 今日懺悔)

살아있는 모든 것을 죽인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라는 뜻입니다. 흔히 살생의 문제에서 갈등을 겪는 수가 있는데, 우리에게 불필요한 일로 살생을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살생을 하지 않고 생명을 존중히 여기고 죽어가는 생명을 살리는 방생을 한다면 그것은 곧 선업이 되는 것입니다.

 

둘째. 투도중죄 금일참회(偸盜重罪 今日懺悔)

남의 물건을 훔친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아무리 작은 물건이라도 남의 물건을 춤치는 것은 투도에 해당 됩니다. 엄밀히 따지고 보면 단순히 남의 것을 훔치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회사를 운영하면서 노동을 착취한다거나 권력을 이용하여 이익을 노리는 일도 투도에 속합니다. 투도를 참회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행위는 베푸는 일인 보시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보시 :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

 

셋째. 사음중죄 금일참회(邪淫重罪 今日懺悔)

삿된 음행의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불사음계는 남녀의 순결과 삶의 청정을 강조한 계율입니다. 사회적으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삶을 살아가야 하며, 자제력으로 인격을 도약하며 방탕과 게으름을 멀리하고 맑고 깨끗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라.

 

넷째. 망어중죄 금일참회(妄語重罪 今日懺悔)

망녕된 말로써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망어는 거짓말입니다. 거짓말이란 부정한 마음으로 남을 속이려하며, 사실을 숨겨 다른 말을 하는 것을 거짓말이라 합니다.

 

다섯째. 기어중죄 금일참회(綺語重罪 今日懺悔)

비단결 같은 말로써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기어란 기이하고 해괴한 말로 상대를 농락하고 기만한 것을 말합니다.

 

여섯째. 양설중죄 금일참회(兩舌重罪 今日懺悔)

두 가지 말로써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양설은 두 가지 말로 남을 이간시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일곱째. 악구중죄 금일참회(惡口重罪 今日懺悔)

악담으로 지은 모든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상대에 대하여 욕을 하고 능멸하는 것, 말에 대한 중요성은 거듭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화안애어(和顔愛語), 부드럽고 사랑스런 상냥한 말은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여덟째. 탐애중죄 금일참회(貪愛重罪 今日懺悔)

탐욕으로 인해 지은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탐욕은 탐애(貪愛)라고도 하며 자기가 원하는 것에 욕심을 내어 집착하는 것, 자기의 뜻에 맞는 일에 집착하는 것, 정도를 넘어서서 욕심을 부리는 것, 명성과 이익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것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오욕(五慾)이라고 하여 식욕(食慾색욕(色慾재욕(財慾명예욕·수면욕 등을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구하는 것 자체가 탐욕이 아니라 그것이 정도를 지나칠 때 탐욕이라고 합니다.

 

아홉째. 진에중죄 금일참회(賑恚重罪 今日懺悔)

성냄으로 인해 지은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진에는 분노하는 것으로서 상대에 대하여 미워하고 성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진에 속에는 분노뿐만 아니라 시기와 질투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진에는 수행을 하는데 가장 큰 허물이 되는 것이며, 다스리기도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열 번째. 치암중죄 금일참회(痴暗重罪 今日懺悔)

어리석음으로 인해 지은 무거운 죄를 제가 오늘 참회합니다.’ 우치는 현상이나 사물의 도리를 이해할 수 없는 어두운 마음으로서, 이로 인하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판단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우치 때문에 모든 번뇌가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삼독은 모두 []’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스스로 미혹한 것이 우치이고, 그 우치 때문에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에게 맞으면 탐욕을 일으키고 에게 맞지 않으면 분노(진에)를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마지막 의업인 탐진치 삼독은 중생을 생사의 윤회 속으로 빠뜨리는 근원이 되고, 중생의 고통을 만드는 원인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독을 제거하면 곧 고()를 떠나서 열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삼독을 없애기 위한 수행으로는 바른 견해(正見) · 바른 생각(正思惟) · 바른 말(正語) · 바른 행동(正業) · 바른생활(正命) · 바른 노력(正精進) · 바른 인식(正念) · 바른 정신(正定)의 팔정도(八正道 : 여덟 가지의 올바른 수행법)와 계((()의 삼학(三學)을 들고 있습니다. , 계로써 탐욕을 다르시고, 정으로써 진에를 다스리며, 혜로써 어리석음을 다스린다는 말씀입니다.

 


'부처님 배우기 > ♣ 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효사상  (0) 2017.08.09
2. 십악참회(十惡懺悔)  (0) 2017.06.17
열반의 길, 피안의 길  (0) 2017.06.15
참회(懺悔)  (0) 2017.05.31
인연  (0) 2017.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