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음으로 피어난 보문사 가을밤 정취 화음으로 피어난 보문사 가을밤 정취 24일 아산시민과 함께 하는 제6회 희망음악회 성료 2016년 09월 25일 (일) 20:00:19 김종만 기자 purnakim@buddhismjournal.com ▲ 무대 뒤에서 바라본 희망음악회 전경. 가수 최성수가 노래를 부르는 무대 앞 관객들이 자리를 가득 메우고 있다. 아산시민과 함께 하.. 희망(산사) 음악회/♣ 행 사 이야기 2016.10.04
禪을 즐겨라 - "바람의 힘으로 도는 것은 괴멸" "바람의 힘으로 도는 것은 괴멸" 선을 즐겨라 24-제2편 선승과 공안 "도를 알려면 헤아려야… 헤아리면 곧 어긋난다" 평상시도(平常是道) 스님에게 조주가 물었다. “무엇이 도입니까?” 스님 대답하기를 “평상심이 도이니라.” 조주가 말하기를 “오히려 헤아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스..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10.02
禪을 즐겨라 - 空사상의 오묘한 이치 터득 空사상의 오묘한 이치 터득 선을 즐겨라 23-제2편 선승과 공안 25. 남전보원(南泉普願 748~834 南嶽下) 지주(池州) 남전(南泉)의 보원선사(普願禪師)는 정주(鄭州) 신정(新鄭) 사람으로 성은 왕(王)씨이다. 당나라 지덕(至德) 2년 열 살 때에 대외산(大隗山) 대혜선사(大慧禪師)를 따라 출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10.02
禪을 즐겨라 - 씩씩한 機用이 천연 그대로 씩씩한 機用이 천연 그대로 선을 즐겨라 22-제2편 선승과 공안 24. 단하천연(丹霞天然 739~824 靑原下) 석두희천에게 머리깎고 마조도일에게 참방구법 추위 녹이고자 목불태워 "사리 안나오는데 뭔 타박" 단하천연 선사는 당(唐)나라 때 사람으로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0)선사에게 머리를 깎..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9.15
불교설화 - 나를 찾아 떠난 아이 하나 별이 하나 둘 뜨고 있다. 땅에 싹이 돋듯 하늘에 별이 움트고 있다. 작은 별들은 무리를 이루고 별 밭을 만들어 반짝인다. 별들은 개울도 만든다. 별들은 강이 되어 흐른다. 달이 나룻배가 되어 떠 있다. 아이는 별 흐르는 소리를 듣는다. 송사리 떼가 헤엄치는 찬 개울물 소리다. 두 손.. 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2016.09.11
불교설화 - 산비둘기를 사랑한 스님 산비둘기를 사랑한 스님 진달래꽃이 산자락에 군데군데 피어 있었어요. 암자 앞 절벽에도 진달래 한 그루가 환하게 꽃을 피우고 있었어요. 진달래는 바로 옆에 선 소나무에게 '봄이야. 봄이 왔어.' 하고 속삭였어요. 솔방울을 매단 소나무는 바람이 불자 고개를 끄덕였어요. 나무꾼이 지게.. 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2016.09.11
아산시민과 함께 하는 제6회 희망음악회 아산시민과 함께 하는 제6회 희망음악회 (재)아산 보문사, 24일 저녁 7시 경내 특설무대서 2016년 09월 05일 (월) 13:31:32김종만 기자 purnakim@buddhismjournal.com (재)선학원 아산 보문사(주지 · 송운 스님)는 아산시민과 함께 하는 제6회 희망음악회를 24일 저녁 7시 경내 큰마당 특설무대에서 개최한.. 희망(산사) 음악회/♣ 행 사 이야기 2016.09.06
사방찬 (8월 초하루)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二灑南方得靑凉) 삼쇄서방구정토(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四灑北方永安康) 〈사방찬〉은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찬탄하는 구절입니다. 즉〈신묘장구대다라니〉로서 관세음보살의 위력을 우주에 두루 충만해 있..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9.04
禪을 즐겨라 - 선종 특유의 계율 '선림청규' 제정 선종 특유의 계율 '선림청규' 제정 선을 즐겨라 21.-제2편 선승과 공안 노구에도 매일 대중운력 참여 제자들이 만류하며 연장 숨겨 "난 덕이 없구나" 공양 거부 일일부작 일일불식 가르침 백장에게는 유명한 여우를 제도한 이야기나 공안(公案)과 당에 올라 설한 법어들이 많이 남아 있다.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9.04
禪을 즐겨라 - 마조 문하 뛰어난 세 명 '우뚝' 마조 문하 뛰어난 세 명 '우뚝' 선을 즐겨라 ⑳-제2편 선승과 공안 22,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0) 석두 희천선사는 단주(端州) 고요(高要) 사람으로 성은 진(陳)씨이다. 당(唐)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구시원년(久視元年)에 태어났다. 처음에 조계(曹溪)에 가 혜능선사를 배알하고 득도..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26
禪을 즐겨라 - “삼계는 일심, ‘즉심즉불’ 설법” “삼계는 일심, ‘즉심즉불’ 설법” 선을 즐겨라 ⑲-제2편 선승과 공안 불어심으로 마루를 삼고 무문으로 법문을 삼는다 보리를 마음에서 찾는 법 제시 어느 날 마조대사는 대중을 향하여 “여러분들은 각자 자신의 마음(自心)이 부처임을 믿어라.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 달마대사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26
칠성탱화에 대하여 자미대제 칠성도는 칠성각에 걸리는 탱화입니다. 칠성도는 고대의 천문관이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동양의 천문학을 전혀 모른다면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지구의 북분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 하늘을 본다면 하늘의 별들은 항상 북극성을 중심으로해서 하루에 한번씩 좌측으로 돌게.. 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2016.08.15
무재칠시(無財七施) 보시의 종류 보시란 남에게 무엇인가를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입 보시에는 흔히 세 가지형태의 보시가 있습니다. <대지도론>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를 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법시란 진리를 모르고 무명 속에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말합..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8.06
백중,우란분절 이야기 ◆백중,우란분절 이야기◆ 음력 7월 15일은 백중절(百中節),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 백종일(白踵日), 망혼일(亡魂日), 머슴날 그리고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많은 이름이 붙여진 연유부터 살펴.. 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2016.08.06
우란분회(盂蘭盆會) 감로왕도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1728년 작. 종이바탕에 채색. 260×300㎝. 우란분재의 성반을 올림으로써 지옥에 떨어진 부모가 고통에서 벗어나 극락왕생한다는 ≪우란분경≫의 내용을 도상화한 것이다 우란분회(盂蘭盆會) 『우란분경』을 근거로 .. 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2016.08.06
禪을 즐겨라 - 남악 회하에 마조 단연 돋보여 남악 회하에 마조 단연 돋보여 선을 즐겨라 ⑱-제2편 선승과 공안 20. 남양혜충(南陽慧忠 ?∼775) 위기의 순간엔 내면 법력 표출 국사삼환·남양정병 법당 유명 남양혜충 선사는 월주 제기현 사람으로 속성은 염(冉)씨다. 태어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경로로 육조에게 갔..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06
禪을 즐겨라 - "부처의 성품에 무슨 차별이?" "부처의 성품에 무슨 차별이?" 선을 즐겨라 ⑰-제2편 선승과 공안 16. 대만홍인(大滿弘忍 602∼675) 생후 바로 강물에 버려졌으나 7일간 아무런 변고 없이 생존 중국 전법상승 제 5조다. 기주 황매 사람으로 당 측천무후 수공 4년에 태어났다. 그는 생후 곧 바로 강물에 던져졌으나 7일간 아..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29
禪을 즐겨라 - 승찬의 '신심명' 불후의 명작 승찬의 '신심명' 불후의 명작 선을 즐겨라 ⑯-제2편 선승과 공안 14. 감지승찬(鑑智僧璨 ?∼606) 감지 승찬선사는 2조 혜가의 법을 전수받은 중국 선불교의 제3조다. 태어난 곳과 가계(家系)가 분명하지 않다. 다만 산수(山水)를 좋아 해 서주 환공산(晥空山)에 숨어 지냈다. 후주의 무제가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26
우란분재일 우리 마음자세 (6월 보름) 우란분재일 우리 마음자세 요즘은 어느 때 보다도 효가 절실히 필요한 시대입니다. 효도는 모든 선행의 근본이 되는 것으로 효가 땅에 떨어지면 아무리 문화와 문명이 발달한다고 해도 그러한 사회는 짐승의 사회나 다를 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요즘 현실을 살펴보면 옛날처럼 효도하..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19
禪을 즐겨라 - 팔을 잘라 바치자 마침내 면알 팔을 잘라 바치자 마침내 면알 선을 즐겨라 ⑮-제2편 선승과 공안 성체제일의(聖諦第一義) [무제문달마 武帝問達磨] 양무제가 달마대사에게 물었다. “무엇이 근본이 되는 가장 성스러운 진리입니까?” 달마가 말했다. “텅비어 성스럽다 할 것도 없습니다.” 무제가 다시 묻는다. “나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16
禪을 즐겨라 - 혜가에게 '안심법문' 선풍 떨쳐 혜가에게 '안심법문' 선풍 떨쳐 선을 즐겨라 ⑭-제2편 선승과 공안 장차 바른 선지(禪旨)를 어떻게 전할 수 있을까. 달마는 깊이 생각한 끝에 아무도 모르게 양나라 북쪽의 양자강을 건너 위(魏)나라로 가게 된다. 달마는 그 곳 숭산 소림사에 들어가 벽을 향해 앉았다. 그리곤 선의 깊은 뜻..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