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의 은혜 (백중초재) [부모님의 은혜] 우리 불자들은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 은혜가 있는데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종대은 명심불망(五種大恩 銘心不忘)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말아야 하는 다섯 가지 은혜 各安基所國王之恩(각안기소국왕지은) 평화로운 삶의 터전 지켜주신 국가은혜 生養劬勞..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06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多羅尼) 위신력. (6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多羅尼) 위신력. (6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위대하여 영험과 가피가 반드시 따르게 됩니다. 말 그대로 신기하고 묘한 가피가 있는 다라니경이기 때문입니다. 불자라면 불교에 처음 접하는 분들도 한번쯤 들어본 경전이 바로 수리수리 마하수리로 시..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7.05
만해 한용운 72주기 추모다례재 화보 만해 한용운 72주기 추모다례재 화보 AW컨벤션 센터에서 봉행된 만해 스님 72주기 추모다례재 사회를 맡은 김상준 교수(동아방송예술대). 김 교수는 KBS 아나운서 출신이다. 이사장 법진 스님, 정세균 국회의장, 기동민 국회의원이 의식에 참여하고 있다. 만해 스님의 행장을 소개하고 있는 .. 부처님 배우기/♣ 법회.칼럼 2016.07.03
불교저널)“자유·평등 구현이 만해스님 유지 계승하는 것” “자유·평등 구현이 만해스님 유지 계승하는 것” 29일 성북동 심우장서 만해 선사 72주기 추모재 봉행 이사장 법진스님 등 재단임원진 앞서 망우리 묘소 참배 ▲ 성북동 심우장에서 열린 추모다례재에 자리한 내빈들. 왼쪽부터 총무이사 송운 스님, 이사장 법진 스님, 성북문화원 정상옥.. 부처님 배우기/♣ 법회.칼럼 2016.07.03
[스크랩] “만해의 뜻, 우리가 이뤄야 할 의무” “만해의 뜻, 우리가 이뤄야 할 의무” (재)선학원, 29일 하림각서 만해스님 72주기 추모다례제 제2회 청소년 문예공모 시상식 및 퓨전국악 추모공연도 ▲ 헌향헌다를 마친 이사장 법진 스님과 영애 한영숙 여사가 영전에 큰 절을 올리고 있다. ▲ 이사장 법진 스님은 추모법어를 통해 자유.. 부처님 배우기/♣ 법회.칼럼 2016.07.02
禪을 즐겨라 -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 넘쳐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 넘쳐 선을 즐겨라 ⑬-제2편 선승과 공안 11. 보리달마(菩提達磨 ?∼528) 보리달마는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다. 인도 남천축 향지국왕의 셋째 아들로 찰제리족이다. 아명은 보리다라.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가 넘쳐흘렀다. 아버지 향지국왕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02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7월 2일 수업 발심(發心)은 발보리심의 준말이고 수행 (修行)은 수도(修道)의 다른 표현(表現)입니다. 장(章)은 문장이라는 말입니다.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은 총 670자로 된 운문(韻文)입니다. 해동사문(海東沙門) 원효(元曉) 술(術) [분황사 사문 원효 술] 스님 법호는 원효(元曉) 새벽을 밝히다. 서기 617년에 출생하여 686에 70세 일기로 열반 신라(新羅)의 [김춘추]와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을 주도하며 고구려(高句麗)의 [연개소문], 백제(百濟)의 [의자왕]과 치열한 접전을 벌이던 절체절명의 시기, 원효는 왕실과 권력층을 향해 전쟁반대(戰爭反對)를 선언합니다. 전쟁으로 고통 받는 민중의 삶을 보살피는데 진력하시면서 삼국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역설하신 .. 보문사 불교대학/♣ 불교대학 강의실 2016.07.02
禪을 즐겨라 - 禪門에 널리 애송된 능엄경 禪門에 널리 애송된 능엄경 선을 즐겨라⑫ -제2편 선승과 공안 금강경경천(金剛經輕賤) 금강경에 이르기를 “사람에게 업신여김과 천대를 받는 경우가 있는 바 이 사람은 전세에 지은 죄업으로 악한 세계에 떨어져야 마땅하나 금생에 사람들의 업신여김과 천대를 받았기 때문에 전세의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26
禪을 즐겨라 - 금강경은 선교 양종 근본경전 금강경은 선교 양종 근본경전 선을 즐겨라⑪ -제2편 선승과 공안 5. 개사(開士) 개사란 보살을 뜻한다. 경에 등장하는 수많은 보살을 지칭하여 개사라 하는 것이다. 보살은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로 번역하면 대심(大心)의 중생을 뜻한다. 즉 각유정(覺有情)이라고도 하고 또 개사..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26
신묘장구 대다라니, 천수경의 심장 (오월 초하루)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의 심장 천수경의 가장 핵심이 되는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음보살의 위신력, 지혜, 자비, 과거의 행적, 관세음보살의 여러 가지 모습 등이 담긴 천수경의 심장부에 해당됩니다. 즉, 천수경의 핵심이며 안목을 나타낸 부분이 바로 신묘장구대다라니인 것입니..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6.20
천도재(薦度齋)란 무엇인가. 천도재(薦度齋)란 무엇인가. 천도재란 사람이 죽어 그 영혼이 내생(來生)의 좋은 곳에 다시 태어나도록 그 가는 길을 안내하고 인도하며 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이끌어주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천(薦)은 천거함을 의미하고 도(度)는 가는 길 또는 가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또한 천도재.. 부처님 배우기/♣ 법문 2016.06.19
송운 스님 고희 법어집 ‘얻을 것도· · ·’ 출간 송운 스님 고희 법어집 ‘얻을 것도· · ·’ 출간 교학과 선지 중심 정선해 엮어 초보자도 쉽게 이해 재단법인 선학원 총무이사이자 충남 아산 보문사 주지 송운당(松韻堂) 현보(玄寶) 스님이 세납 고희(古稀)를 맞아 기념 법어집 《얻을 것도 없고 잃을 것도 없다네(우리출판사)》를 출.. ★ 송운 큰스님 2016.06.14
송운당 현보 스님 고희·법어집 출간 기념법회 봉행 “출가 54년…바야흐로 청풍명월의 호시절” 송운당 현보 스님 고희·법어집 출간 기념법회 봉행 ▲ 고희 및 법어집 출판기념법회에서 인사말씀하고 있는 송운 스님. 재단법인 선학원 총무이사 송운당 현보 스님의 고희와 법어집 《얻을 것도 없고 잃을 것도 없다네》 출간을 기념하는 .. ★ 송운 큰스님 2016.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