禪을 즐겨라 - 空사상의 오묘한 이치 터득 空사상의 오묘한 이치 터득 선을 즐겨라 23-제2편 선승과 공안 25. 남전보원(南泉普願 748~834 南嶽下) 지주(池州) 남전(南泉)의 보원선사(普願禪師)는 정주(鄭州) 신정(新鄭) 사람으로 성은 왕(王)씨이다. 당나라 지덕(至德) 2년 열 살 때에 대외산(大隗山) 대혜선사(大慧禪師)를 따라 출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10.02
禪을 즐겨라 - 씩씩한 機用이 천연 그대로 씩씩한 機用이 천연 그대로 선을 즐겨라 22-제2편 선승과 공안 24. 단하천연(丹霞天然 739~824 靑原下) 석두희천에게 머리깎고 마조도일에게 참방구법 추위 녹이고자 목불태워 "사리 안나오는데 뭔 타박" 단하천연 선사는 당(唐)나라 때 사람으로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0)선사에게 머리를 깎..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9.15
禪을 즐겨라 - 선종 특유의 계율 '선림청규' 제정 선종 특유의 계율 '선림청규' 제정 선을 즐겨라 21.-제2편 선승과 공안 노구에도 매일 대중운력 참여 제자들이 만류하며 연장 숨겨 "난 덕이 없구나" 공양 거부 일일부작 일일불식 가르침 백장에게는 유명한 여우를 제도한 이야기나 공안(公案)과 당에 올라 설한 법어들이 많이 남아 있다.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9.04
禪을 즐겨라 - 마조 문하 뛰어난 세 명 '우뚝' 마조 문하 뛰어난 세 명 '우뚝' 선을 즐겨라 ⑳-제2편 선승과 공안 22,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0) 석두 희천선사는 단주(端州) 고요(高要) 사람으로 성은 진(陳)씨이다. 당(唐)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구시원년(久視元年)에 태어났다. 처음에 조계(曹溪)에 가 혜능선사를 배알하고 득도..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26
禪을 즐겨라 - “삼계는 일심, ‘즉심즉불’ 설법” “삼계는 일심, ‘즉심즉불’ 설법” 선을 즐겨라 ⑲-제2편 선승과 공안 불어심으로 마루를 삼고 무문으로 법문을 삼는다 보리를 마음에서 찾는 법 제시 어느 날 마조대사는 대중을 향하여 “여러분들은 각자 자신의 마음(自心)이 부처임을 믿어라. 이 마음이 곧 부처이다. 달마대사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26
禪을 즐겨라 - 남악 회하에 마조 단연 돋보여 남악 회하에 마조 단연 돋보여 선을 즐겨라 ⑱-제2편 선승과 공안 20. 남양혜충(南陽慧忠 ?∼775) 위기의 순간엔 내면 법력 표출 국사삼환·남양정병 법당 유명 남양혜충 선사는 월주 제기현 사람으로 속성은 염(冉)씨다. 태어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경로로 육조에게 갔..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8.06
禪을 즐겨라 - "부처의 성품에 무슨 차별이?" "부처의 성품에 무슨 차별이?" 선을 즐겨라 ⑰-제2편 선승과 공안 16. 대만홍인(大滿弘忍 602∼675) 생후 바로 강물에 버려졌으나 7일간 아무런 변고 없이 생존 중국 전법상승 제 5조다. 기주 황매 사람으로 당 측천무후 수공 4년에 태어났다. 그는 생후 곧 바로 강물에 던져졌으나 7일간 아..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29
禪을 즐겨라 - 승찬의 '신심명' 불후의 명작 승찬의 '신심명' 불후의 명작 선을 즐겨라 ⑯-제2편 선승과 공안 14. 감지승찬(鑑智僧璨 ?∼606) 감지 승찬선사는 2조 혜가의 법을 전수받은 중국 선불교의 제3조다. 태어난 곳과 가계(家系)가 분명하지 않다. 다만 산수(山水)를 좋아 해 서주 환공산(晥空山)에 숨어 지냈다. 후주의 무제가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26
禪을 즐겨라 - 팔을 잘라 바치자 마침내 면알 팔을 잘라 바치자 마침내 면알 선을 즐겨라 ⑮-제2편 선승과 공안 성체제일의(聖諦第一義) [무제문달마 武帝問達磨] 양무제가 달마대사에게 물었다. “무엇이 근본이 되는 가장 성스러운 진리입니까?” 달마가 말했다. “텅비어 성스럽다 할 것도 없습니다.” 무제가 다시 묻는다. “나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16
禪을 즐겨라 - 혜가에게 '안심법문' 선풍 떨쳐 혜가에게 '안심법문' 선풍 떨쳐 선을 즐겨라 ⑭-제2편 선승과 공안 장차 바른 선지(禪旨)를 어떻게 전할 수 있을까. 달마는 깊이 생각한 끝에 아무도 모르게 양나라 북쪽의 양자강을 건너 위(魏)나라로 가게 된다. 달마는 그 곳 숭산 소림사에 들어가 벽을 향해 앉았다. 그리곤 선의 깊은 뜻..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16
禪을 즐겨라 -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 넘쳐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 넘쳐 선을 즐겨라 ⑬-제2편 선승과 공안 11. 보리달마(菩提達磨 ?∼528) 보리달마는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다. 인도 남천축 향지국왕의 셋째 아들로 찰제리족이다. 아명은 보리다라. 어릴 때부터 영명한 재기가 넘쳐흘렀다. 아버지 향지국왕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7.02
禪을 즐겨라 - 禪門에 널리 애송된 능엄경 禪門에 널리 애송된 능엄경 선을 즐겨라⑫ -제2편 선승과 공안 금강경경천(金剛經輕賤) 금강경에 이르기를 “사람에게 업신여김과 천대를 받는 경우가 있는 바 이 사람은 전세에 지은 죄업으로 악한 세계에 떨어져야 마땅하나 금생에 사람들의 업신여김과 천대를 받았기 때문에 전세의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26
禪을 즐겨라 - 금강경은 선교 양종 근본경전 금강경은 선교 양종 근본경전 선을 즐겨라⑪ -제2편 선승과 공안 5. 개사(開士) 개사란 보살을 뜻한다. 경에 등장하는 수많은 보살을 지칭하여 개사라 하는 것이다. 보살은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로 번역하면 대심(大心)의 중생을 뜻한다. 즉 각유정(覺有情)이라고도 하고 또 개사..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26
禪을 즐겨라 - 침묵으로 不可說 당체 직시 침묵으로 不可說 당체 직시 선을 즐겨라⑩ -제2편 선승과 공안 불교에서는 삼세의 3천불을 상정해 놓고 있다. 즉 과거세 천불, 현재세 천불, 미래세 천불로 《삼천불명경(三千佛名經)》에서는 이들에 대해 하나 하나 이름을 설하고 있다. 또 이 외에도 수많은 불보살을 내세우고 있는데 제..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13
禪을 즐겨라 - 심법 전수받은 가섭이 제1조 심법 전수받은 가섭이 제1조 선을 즐겨라⑨ -제2편 선승과 공안 부처님의 전법도생은 성도한 35세부터 80세 입멸에 이르기까지 45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전법도생의 도정엔 빈파사라왕, 아도세왕, 마갈타 국왕 부자(父子) 및 교살라 국왕, 파사익왕들이 주된 외호자(外護者)로 역할했다. 부..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6.04
禪을 즐겨라 - 四門遊觀 통해 출가 결심 四門遊觀 통해 출가 결심 禪을 즐겨라⑧ - 제2편 선승과 공안 제2편 선승과 공안 선승의 전기는 《오등록(五燈錄)》에 전해진다. 즉 《경덕전등록(景德傳燈綠)》 《광등록(廣燈綠)》 《속등록(續燈綠)》 《연등록(聯燈綠)》 《보등록(普燈綠)》이 있다. 다시 이 5서를 제요(提要)한 《오등..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5.21
禪을 즐겨라 - 以心傳心이 선종의 기원 以心傳心이 선종의 기원 선을 즐겨라 - 제1편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선에 대한 인식(7) 10. 선종의 기원과 좌선 · 공안 선종에서는 그 기원을 석가모니 부처님이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마하가섭(摩訶迦葉)에게 법을 부촉한 것에서 찾는다. 즉 범천왕(梵天王)이 부처님에게 금바라화(金波..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5.18
禪을 즐겨라 - 수많은 담금질로 자기 완성 수많은 담금질로 자기 완성 선을 즐겨라 - 제1편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선에 대한 인식(6) 예를 들어 방석 하나를 생각해보자. 방석쯤이야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지만 좌선할 때 깔고 앉는 방석의 뒷부분 두께는 매우 중요하다. 체격이나 골격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있다. 이른바 개..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5.06
禪을 즐겨라 - "공안 통해 자아본체 확인해야" "공안 통해 자아본체 확인해야" 선을 즐겨라 - 제1편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선에 대한 인식(5) 심신일여의 대조화, 정신과 신체의 대조화란 말을 썼지만 원래 인간이란 존재는 신체와 정신이 혼연히 융합한 유기체(有機體)로서 정신과 신체를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우리..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4.24
禪을 즐겨라 - 지식으로 이해하려면 곤란 지식으로 이해하려면 곤란 선을 즐겨라 - 제1편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선에 대한 인식(4) 선은 지극히 평범하고 우리 가까이 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를 보면 돼 그렇지 않을 경우 어려워져 불립문자가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는 의미이거니와 교외별전 역시 글로 표명할 수도 없고 사람을 ..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4.18
禪을 즐겨라 - 일상생활에 禪 반영해야 일상생활에 禪 반영해야 선을 즐겨라 - 제1편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선에 대한 인식(3) 발상의 전환 등 패러독스 마케팅 · 기술 등에도 적용 인생관 확립 길 선에 있어 절대의 세계로 가는 첩경 4. 선의 네가지 특질 선사상은 주로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직지인심(直指人.. 송운스님 법어/♣ 禪을 즐겨라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