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배우기/♣ 불교 상식

일상에서 사용하는 불교용어 (2)

아산 보문사 2016. 11. 22. 16:45

일상에서 사용하는 불교용어 (2)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불교국가였기 때문에 불교관련 말이 많다.

*공부도 불교에서 유래된 언어이다.

*명복(冥福) *스승도 불교에서 사용하는 말이었다.

*세계(世界)는 불교에서 이르는, 중생이 사는 이 현상계

(는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三世), 는 동서남북과 상하를 가리킴)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 *무진장 *건달 *도로아미타불 *인연 *가관 *설상가상 *가호 *객사

*걸식 *말세 *명색 *미혹 *미망인 *삼매 *방편 *시달림 *아사리판 *출세 *사자후 *신통 *업보 *호사다마

*전도  *짐승(중생이란 말에서 왔다고 한다), 뒷바라지란 말에서의 *바라지,

살림살이에서의 *살림, 청량음료의 *청량도 불교에서 온 말이고.

*청량리, 안양, 보문, 불광...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지명도 불교용어이고..

우리말 자체가 거의 불교와 인도철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아궁이는 아그니에서 온 말이고..

*서울 (수행하는 곳)'슈라바스티'가 서라벌로 변형되고 그 이후 서울로 된 것이고

천주교에서 쓰는 *천주도 불교용어이고, 개신교에서 쓰는 *장로도 오래 수행한 원로 스님(장로니: 오래 수행한 원로 여스님), 불교의 큰스님을 뜻하는 말이다. 기독교에서 쓰는 *오병이어의 이적도 사실은 성경보다 훨씬 연대가 앞서는 불경중 법화경에 이어오병을 변형한 것이다.

*사물은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法鼓운판(雲板목어(木魚범종(梵鐘)의 네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이것이 북··목탁·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장구··꽹과리의 네 민속타악기로 바뀌어, 일반적으로 사물놀이라고 하면 이 네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가리키게 되었다.

*점심 선종(禪宗)에서, 배고플 때 조금 먹는 음식. 마음에 점을 찍는 듯이 가볍게 먹는다는 의미. 스님들이 소식 을 한데서 비롯했다고도 한다.

*대중은 불교에서는 신도들을 일컬을 때 사부대중(四部大衆)이니 7부중(七部衆)이니 하는 말을 쓰는데, 사부대중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등 출가하였거나 출가하지 않은 남녀 신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대중은 출가 여부에 관계없이 부처에게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단말마(斷末魔) 인간이 죽을 때 느끼는 최후의 고통이다.

*탈락(脫落) 빠지거나 떨어져 없어진다.

*세속(世俗) 세상

*무사(無事) 사고가 생기지 않음

*면목(面目) , 원래 불교에서는 참사람의 참모습

*현관(玄關) 건물의 입구. 불교에서는 우리의 입

*지사(知事) 어떤 분야에 일을 책임진다. 불교에서는 절의 용무를 맡아보는 것.

  ex)도지사(道知事),주지사(州知事)

*강당(講堂) 인도에서 설법을 강()하던 장소로 현대에는 학교 ·관공서 등에서 많은 사람이 한 군데 모여 의식이나 강연 등을 들을 수 있는 큰 장소

*관념(觀念) 원래는 불교용어로 진리 또는 불타를 관찰 사념한다. 현재는 사람의 마음속에 나타나는 표상·상념·개념 또는 의식내용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사리 (본래 신체를 뜻하는 말이나 승려 가 죽은 뒤 나오는 구슬이란 뜻으로 쓰임)처럼 일상에서 쓰던 말이 불교 용어로 더 많이 쓰이게 된 경우도 있다.

*이심전심 : 부처님의 생애 중에 가섭존자와 관련된 대목에 나오는 말이다.

다른 말로는 삼처전심이라고 하여 부처님과 가섭존자가 세 곳에서 마음을 나누었다는 이야기이다.

첫 번째가 염화시중의 미소

두 번째가 분반좌, 가섭에게 부처님이 자리를 양보했다는 이야기

세 번째는 곽시쌍부라고 부처님 열반 시에 가섭과 마음을 나누었단 이야기

*묵인(墨印)먹으로 새겨 두다의 뜻으로, 먹 글로 전수받은 불법을 마음에 새긴다는 의미다.

이는 여러 단계로 구분되는데,

부처님에게서 친히 수지불망(受持不忘)하는 단계,

고승에게서 여러 스님들과 함께 수지불망하는 단계,

중생과 함께 많은 스님에게서 듣는 단계 등으로 나뉜다.

*야단법석(野檀法席) 질서가 없고 시끌벅적하고 어수선한상태

*아비규환(阿鼻叫喚) 불교에서 말하는 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뜻하는 말로, 계속되는 심한 고통으로 울부짖는 현상

*다반사(茶飯事) 밥 먹듯이 자주 일어나는 일

*이판사판(理判事判) 억불숭유정책을 쓴 조선시대에는 이판승이나 사판승이나 모두 마지막 신분계층이 되는 것이어서 절에 들어가 승려가 된다는 것은 끝장이라는 의미에서 막다른데 이르러 어쩔 수 없음

*아수라장(阿修羅場)-'阿修羅'는 산스크리트 'asur'의 음역(音譯) 아소라, 아소락, 아수륜 등으로 표기하며 약칭은 수라(修羅)라고 하는데, 추악하다 는 뜻. 아수라장은 전쟁터를 뜻하기도 한다.

*시방 : 평면방위(平面方位)의 개념인 동서남북의 사면(四面)과 사우(四隅)를 더한 팔방(八方)에 상하(上下)를 포함해 입체화한 개념으로서 불교용어인 시방(十方),세계, 시방정토(十方淨土)에서 비롯된 것이다.

*혜안 : 지혜의 눈

*아귀 : 허겁지겁 많이 먹는 사람이나 음식 탐이 심한 사람. 불교에는 윤회라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 아귀라는 곳이 있다. 지옥과 비슷한 곳으로 목구멍은 바늘과 같고 몸은 태산과 같은 귀신들이 사는 곳으로 항상 배가 고픈 곳이다

 *용맹정진 잠을 자지 않고 참선을 행하는 것.

장좌불와: 오래 앉아 있으며 눞지 않음. 일일일식: 하루 한 끼의 식사. 오후불식: 오후에 먹지 않음.

 *해우소 화장실. 이러한 용어들은 불교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 인데 지금은 민간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군맹무상(群盲撫象) 사물을 전체 적으로 보지 못하고 일부분에만 집착한다.

*염화미소(捻花微笑)

*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어느 날 석가모니가 제자들을 모두 데리고 연꽃을 살짝 집어 미소를 지었는데 가섭존자가 미소로 대답함으로써 가섭존자만이 석가모니의 진리를 이어받았다.

*사필귀정 인과응보(事必歸正 因果應報)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 윤회사상을 뜻한다.

차 있는 것이 비어있는 것이고 비어있는 것이 차있는 것이며 헤어진 자는 반드시 돌아오며 간자는

다시 돌아오게 되어있다. 한용운님의 '님의 침묵'이란 시를 배울 때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다비(茶毘) 불교계에서 시체를 화장하는것

*찰나(刹那) 눈 깜짝할 새

*() 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00(40킬로미터)가 되는 정육면체의 화강석이 있다면 이

거대한 돌덩이를 선녀가 100년에 한 번씩 내려와서 잠자리 날개 같은 옷으로 한번 스치고 지나쳐

서 그 돌이 다 가루가 되면 그 기간을 ''이라고 한다. 그러니 영겁의 세월은 아주아주 우리가 상

상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랜 기간이다.

*불가사의 불가에서는 수를 나타내는 말로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1. 항하사 - 1096,1056

2. 아승지 - 10104,1064

3. 나유타 - 10112,1072

4. 불가사의 - 10120,1080

5. 무량수 - 10128,1088

>>>> 이상은 양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1. 순식 - 1072

2. 수유 - 1064

3. 탄지 - 1080

4. 찰나 - 1088

5. 준순 - 1056

6. 육덕 - 1096

7. - 10104

8. - 10112

9. 허공 - 1020

10. - 10120

11. - 10128

12. 청정 - 1021

>>>> 이상은 음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무량수가 가장 큰 수의 개념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과 반대로 정이 가장 미세한 극소수의 개념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게 볼 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고 있는 불가사의니 찰나니 순식간이니 하는 말은 불가에서 나온 말임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또 흔히 사용하는 말 중에 "무구한 영겁의 세월"이라는 말이 있다 이 역시도 불가에서 나온 말이다. 또한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불가에서는 이 옷깃만 스치는 한 번의 인연이 맺어지기 위해서는 전생에 그 사람과 무려 3000번의 인연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정말 우리의 인연이라는 것은 참으로 소중한 것이다.

또한 대단한 것이기도 하고....

 

강당(講堂)

인도에서 설법을 강()하던 장소

현대에는 학교, 관공서 등에서 많은 사람이 한 군데 모여 의식이나 강연 등을 들을 수 있는 큰 장소를 뜻한다.

 

건달(乾達)

아무 일도하지 않고 빈둥빈둥 노는 사람, 또는 불량배

인도신화에서는 천상의 신성한 물 소마(Soma)를 지키는 신. 그 소마는 신령스런 약으로 알려져 왔으므로 건달바는 훌륭한 의사이기도 하며, 향만 먹으므로 식향(食香)이라고도 한다. 식향(食香)향음(香陰)심향(尋香)심향행(尋香行) 등으로 한역되며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는 긴나라와 함께 제석천의 음악을 담당하는 신이며, 고기와 술을 먹지 않고 향만을 먹는다. 항상 부처님이 설법하는 자리에 나타나 정법을 찬탄하고 불교를 수호한다. 인도에서는 음악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둘째는 사람이 죽은 뒤 다른 몸을 받기 전인 영혼신(靈魂身), 곧 중음신(中陰身)중유(中有) 등으로 한역한다. 태어날 다른 곳을 냄새로 찾아다닌다고 하여 심향행이라고도 불린다. 모두사자의 갈기와 같은 관을 쓰고 있다. 석굴암의 8부중, 경주 남산의 동서 3층석탑, 국립박물관에 소장된 8부중의 석재, 경주박물관 소장 8부중에서 볼 수 있다. 흔히 우리가사용하는 "건달패"라는 용어는 여기서 유래된 것으로 아무 일도하지 않고 빈둥빈둥 노는 사람, 또는 불량배 집단을 일컫는다.

 

() 

시간의 단위로 가장 길고 영원하며, 무한한 시간, 겁파(劫波)라고도 한다. 세계가 성립되어 존속하고 파괴되어 공무(空無)가 되는 하나하나의 시기를 말하며, 측정할 수 없는 시간, 즉 몇 억 만 년이나 되는 극대한 시간의 한계를 가리킨다. 그 길이를 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방과 상하로 1유순(由旬 : 15 km)이나 되는 철성(鐵城) 안에 겨자씨를 가득 채우고 100년마다 겨자씨 한 알씩을 꺼낸다. 이렇게 겨자씨 전부를 다 꺼내어도 겁은 끝나지 않는다.

 

, 사방이 1유순이나 되는 큰 반석(盤石)100년마다 한 번씩 흰 천으로 닦는다. 그렇게 해서 그 돌이 다 마멸되어도 겁은 끝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대비바사론(大毘婆娑論)》ㆍ《대지도론(大智度論)등에도 같은 내용의 비유가 있다. 앞의 것을 겨자겁[芥子劫], 뒤의 것을 반석겁(盤石劫)이라고 한다. 겁을 소()()()로 나누어 이 세계의 성()()()()이 진행되는 기간을 일대겁(一大劫)이라고 하기도 한다. 석가가 발심해서 성불할 때까지 수행에 소요된 시간을 삼아승기겁(三阿僧祇劫), 백대겁(百大劫)이라고 한다. 아승기(asamkhya)는 무수(無數)라고 옮기며 헤아릴 수 없다는 의미이다.

 

결집(結集)

불전(佛典)을 올바로 평가하고 편찬하는 일.

많은 자격 있는 사람들이 모여 불전(佛典)을 올바로 평가하고 편찬하는 일을 의미한다. 인도에서는 전후 4차례의 결집이 있었다고 한다. 1회 결집은 석가의 입멸(入滅) 직후 500명의 유능한 비구(比丘)들이 라쟈그리하(王舍城)교외 칠엽굴(七葉窟)에 모여 마하카샤파(Mahkyapa : 大迦葉)의 주재로 열렸다. 우팔리(優波離)가 율(), 아난다(阿難陀)가 경()을 그들이 듣고 기억하는 대로 외고, 다른 사람들의 승인을 받아 확정했다고 한다. 그 후 석가 입멸 후 100년경에 계율에 대해 이론이 생겼으므로, 바이샬리(毘舍離)에서 야샤스가 주재하는 제2차 결집이 있었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700명의 고승이 모였다 한다.

 

남방의 전승에 의하면 제3차 결집은 불멸(佛滅) 200년경에 아소카왕(阿育王) 치하의 서울 파탈리푸트라(華氏城)에서 열렸으며, 모갈리푸타 티사의 주재로 1,000명의 비구가 모여 경() 전부를 집성했다고 한다. 12 결집에 관해서는 남방불교나 북방불교 모두가 다 전하지만, 3차 결집에 관해서는 북방불교에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4차 결집은 2세기경, 카니슈카왕 밑에서 파르슈바(脇尊者)바수미트라(世友) 등의 주재 하에 카슈미르의 비구500명이 모여 삼장(三藏)에 대한 해석을 가하였는데, 그것이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이 되었다 한다. 그러나 남방불교에서는 믿지 않고 있다.

 

관념(觀念)

사람의 마음속에 나타나는 표상상념개념 또는 의식내용을 가리키는 말.

원래는 불교용어로 진리 또는 불타(佛陀)를 관찰사념(觀察思念)한다는 뜻이며, 심리학용어로서의 관념은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으나 대개 표상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 뜻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표상 쪽이 약간 더 구체적이다. 관념은 영어의 ‘idea’이고, 표상은 독일어 ‘Vorstellung’의 번역어인데 현재는 대개 동의어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감각적 혹은 공상적 표상에서 이성적지적 표상에 이르는 넓은 뜻의 표상 일반, 혹은 그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철학용어로서는 감각적감성적 표상에 대립하는 것으로 지적 표상 또는 개념, 나아가서는 그 복합체를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특(奇特)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을 귀엽게 보고 칭찬할 때 쓰이는 말

'기특하다'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말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이 신통하여 귀염성이 있다.> 이 풀이에 따르면 '기특하다'는 말하는 이나, 글 쓰는 이보다 나이가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을 귀엽게 보고 칭찬할 때 쓰이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즉 할아버지가 손주 놈을 일컬어 '기특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낱말이 애초에 불가(佛家)에서 사용될 때에는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일>, 곧 중생제도(衆生濟渡)의 측은지심( 惻隱之心)을 지니고 무색계(無色界)의 천상에서 인간으로 내려오신 인류구원의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나락(奈落)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극한 상황.

순수한 불교용어 중 하나로 지옥(地獄)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naraka(나라카)의 발음을 그대로 옮겨 쓴 것으로, 본래는 밑이 없는 구멍을 뜻한다. 이것이 오늘날에는 일반용어로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극한 상황을 이르는 말로 바뀌었으며, 지옥을 뜻하는 말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려운 곤경에 처했을 때 흔히 나락에 떨어졌다또는 절망의 나락에 빠졌다고 표현한다.

 

다반사(茶飯事)

늘 있는 예사로운 일.

항다반(恒茶飯) 또는 항다반사(恒茶飯事)라고도 한다. 본래 불교용어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을 의미한다. 극히 일반적이고도 당연한 일로서 불교 중에서도 선종(禪宗)에서 유래했다. 참선 수행을 하는 데는 유별난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이 곧 선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다비(茶毘)

시신을 태워서 그 유골을 매장하는 장법(葬法).

불교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인도에서 행해오던 장법이다. 이 법에 의해 석가모니도 그 유체를 화장하였는데, 그 이래 다비는 불교도(佛敎徒) 사이에 널리 행해졌으며, 불교가 중국을 거쳐 한국일본 등으로 전래됨에 따라 이 장법도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대중(大衆)

여러 계층의 많은 사람을 일컫는 말.

불교 경전에는,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이르셨다거나 부처님께서 기원정사(祈園精舍)에 계실 때 대중을 위해 설법하셨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또 불교에서는 신도들을 일컬을 때 사부대중(四部大衆)이니 7부중(七部衆)이니 하는 말을 쓰는데, 사부대중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등 출가하였거나 출가하지 않은 남녀 신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 대중은 출가 여부에 관계없이 부처에게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면목(面目)

불교에서 참모습을 일컫는 말.

흔히 체면이라는 개념으로, 얼굴의 생김새, 즉 용모를 일컫는 말로 쓰이나 본래는 불교에서 나온 용어이다. 깨달음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마음의 본성, 즉 참모습을 뜻한다.

 

명복(冥福)

죽은 뒤 저승에서 받는 복.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라고 많이 쓴다.

 

무진장(無盡藏)

엄청나게 많아 다함이 없는 상태.

양적 질적으로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덕이 광대하여 다함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직역하면 무진(無盡)’은 다함이 없다는 뜻이고 ()’은 창고이므로 다함이 없는 창고라는 뜻이 된다. 무진은 또한 잘 융화되어 서로 방해함이 없는 상태를 설명하는 말로, 원융무애(圓融無碍)와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유마경》〈불도품에서는 빈궁한 중생을 돕는 것은 무진장을 실천하는 것이며, 보살은 가난하고 궁한 자들에게 무진장을 나타내 그들로 하여금 보리심을 생기게 한다고 하였다. 불교에서는 이와 같이 다함이 없는 덕을 지니고 있음을 비유해 무진장이라 한다.

 

묵인(墨印)

"먹으로 새겨 두다"의 뜻으로, 먹 글로 전수받은 불법을 마음에 새긴다는 의미.

이는 여러 단계로 구분되는데, 부처님에게서 친히 수지불망(受持不忘)하는 단계, 고승에게서 여러 스님들과 함께 수지불망하는 단계, 중생과 함께 많은 스님에게서 듣는 단계 등으로 나뉜다.

 

불가사의(不可思議)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오묘한 이치.

본래 불교에서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는 오묘한 이치 또는 가르침을 뜻하며,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놀라운 상태를 일컫기도 한다. 화엄경부처의 지혜는 허공처럼 끝이 없고 그 법()인 몸은 불가사의하다는 말이 나온다. 또 이 경전의 불가사의품(不可思議品)에 따르면 부처에게는 불국토[刹土], 청정한 원력[淨願], 종성(種姓), 출세(出世), 법신(法身), 음성, 지혜, 신력자재(神力自在), 무애주(無碍住), 해탈 등의 열 가지 불가사의가 있다고 한다. 부처의 몸이나 지혜가르침은 불가사의하여 중생의 몸으로는 헤아릴 수 없다는 말이다.

 

사물(四物)놀이

사물이란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法鼓), 운판(雲板), 목어(木魚), 범종(梵鐘)의 네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이것이 북, , 목탁, 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장구꽹과리의 네 민속타악기로 바뀌어, 일반적으로 사물놀이라고 하면 이 네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가리키게 되었다.

 

산화(散華)

어떤 대상이나 목적을 위하여 목숨을 바침 (불교) 꽃을 뿌리며 부처님을 공양하는 일

(식물) 꽃은 피어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꽃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산화(散華)는 조국을 위하여 순국(殉國)한 분을 칭송할 때의 첫 번째 뜻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두 번째의 뜻이 一般化하면서 은유적으로 의미가 확대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원래는 부처님을 찬양하고 공경하는 뜻에서 꽃을 뿌려 공양하는 행위, 곧 꽃을 뿌린다는 단순한 의미에 불과한 것이었다. 이것이 확대되어 첫 번째 뜻으로 발전했고, 또 특수화하여 세 번째 뜻도 생겼다.

 

살림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

산림(産林)이라고도 하지만 우리말 유래 사전에는 불교용어인 산림(山林)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산림은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을 말하며, 이 말이 절의 재산관리만이 아니라 일반 여염집의 재산을 관리하고 생활을 다잡는 일까지를 가리키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절에서 살림을 맡은 스님은 원주라 해, 그 책임을 귀하게 여겼다.

 

색즉시공공즉시색 (色卽是空空卽是色)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중심사상을 이루고 있어 널리 알려진 말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중심사상을 이루고 있어 널리 알려진 말이다. ()이란 형태가 있는 것, 대상(對象)을 형성하는 물질적인 것, 넓게는 대상 전반을 가리킨다. 첫 구()는 색이란 모두 공()에 불과하다 하였고, 대상을 우리들은 어느 특정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실은 그것은 광범한 연계(連繫) 위에서 그때그때 대상으로서 나타나는 것일 뿐이며, 그 테두리를 벗어나면 이미 그것은 대상이 아닌 다른 것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그 대상에 언제까지나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둘째 구는 그와 같이 원래부터 집착할 수 없는 것을 우리들은 헛되이 대상으로 삼지만, 그것은 공이며 그 공은 고정성이 없는 것인데, 바로 여기에 인간의 현실(존재)이 있다고 설한다. 이것은 일체의 것, 즉 불교에서 말하는 오온(五蘊) 모두에 미치며, 대상(對象 : )뿐만 아니라 주관(主觀)의 여러 작용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시방세계 (十方世界)

불교에서 전 세계를 가리키는 공간 구분개념 사방(四方 : ), 사유(四維 : 북서남서남동북동)와 상 ·하의 열 방향을 나타낸다. 시간의 구분인 삼세(三世 : 과거현재미래)까지를 통칭하여 전 우주를 가리키기도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시방에 무수한 세계가 있으며, 그 안에는 수많은 부처가 두루 존재[通在]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시방삼세제불(十方三世諸佛)이라고 하면 전()시공간 속에 편재(遍在)하는 부처를 말한다.

 

10년공부 도로아미타불

오랫동안 공들여 해 온 일이 하루아침에 허사가 되고 말았다는 말.

십 년 공부 도로아미타불은 오랫동안 공들여 해 온 일이 하루아침에 허사가 되고 말았다는 말이다. ‘십 년 공부 나무아미타불이라고도 한다.

 

아귀(餓鬼)

목마름과 배고픔 등 고통으로 가득 찬 세상에 사는 중생.

탐욕이 많은 자가 사후에 떨어지는 생존상태로서, 불교에서 육도(六道 : 지옥아귀축생修羅인간) 중 하나인 아귀도에 있는 자를 말한다.

 

아비규환(阿鼻叫喚)

차마 눈뜨고 보지 못할 참상이라는 말.

아비지옥은 불교에서 말하는 8대 지옥 중 가장 아래에 있는 지옥으로 잠시도 고통이 쉴 날이 없다하여 무간지옥(無間地獄)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오역죄(五逆罪)를 범한 자들이 떨어지는 곳이다. 즉 부모를 살해한 자, 부처님 몸에 피를 낸 자, 삼보(보물법물승보)를 훼방한 자, 사찰의 물건을 훔친 자, 비구니를 범한 자 등이다. 이곳에 떨어지면 옥졸이 죄인의 살가죽을 벗기고 그 가죽으로 죄인을 묶어 불 수레의 훨훨 타는 불 속에 던져 태우기도 한다. 야차들이 큰 쇠창을 달구어 입배 등을 꿰어 던지기도 한다. 이곳에서는 하루에 수천 번씩 죽고 되살아나는 고통을 받으며 잠시도 평온을 누릴 수 없다. 고통은 죄의 대가를 다 치른 후에야 끝난다.

 

아수라장(阿修羅場)

끔찍하게 흐트러진 현장.

'아소라', '아소락', '아수륜' 등으로 표기하며 약칭은 '수라(修羅)'라고 하는데, '추악하다'라는 뜻이다. 아수라는 본래 육도 팔부중(八部衆)의 하나로서 고대 인도신화에 나오는 선신(善神)이었는데 후에 하늘과 싸우면서 악신(惡神)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증오심이 가득하여 싸우기를 좋아하므로 전신(戰神)이라고도 한다. 그가 하늘과 싸울 때 하늘이 이기면 풍요와 평화가 오고, 아수라가 이기면 빈곤과 재앙이 온다고 한다. 인간이 선행을 행하면 하늘의 힘이 강해져 이기게 되고, 악행을 행하면 불의가 만연하여 아수라의 힘이 강해진다.

아수라는 얼굴이 셋이고 팔이 여섯인 흉칙하고 거대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야단법석(野檀法席)

떠들썩하고 시끄러운 모습이라는 뜻.

불교대사전에 나오는 말이다. ‘야단(野壇)’이란 야외에 세운 단이란 뜻이고, ‘법석(法席)’불법을 펴는 자리라는 뜻이다. ,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라는 뜻이다. 법당이 좁아 많은 사람들을 다 수용할 수 없으므로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듣고자 하는 것이다. 그만큼 말씀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석가가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할 때 최대 규모의 사람이 모인 것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했을 때로 무려 3백만 명이나 모였다고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다 보니 질서가 없고 시끌벅적하고 어수선하게 된다. 이처럼 경황이 없고 시끌벅적한 상태를 가리켜 비유적으로 쓰이던 말이 일반화되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게 되었다.

 

외도(外道)

남녀 간의 성적인 일탈행위.

세상에서 흔히 쓰이는 뜻은 남녀 간의 성적(性的) 일탈행위(逸脫行爲)이지만 이 낱말이 처음 쓰인 것은 불교를 외도(內道)라 하고, 불교 이외의 교()를 내도(內道)의 대칭(對稱)으로 외도(外道)라 한 것에서 비롯한다. 외교(外敎), 외법(外法), 외학(外學)이라고도 하였으며 세월이 흐르면서 사법(邪法)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변하였다. 梵語로는 tirtaka라 한다.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

어느 날 석가세존(世尊)이 제자들을 영취산(靈鷲山)에 모아놓고 설법을 하였다. 그 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세존은 손가락으로 연꽃 한 송이를 말없이 집어 들고[拈華] 약간 비틀어 보였다. 제자들은 세존의 그 행동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빙그레 웃었다[微笑]. 그제야 세존도 빙그레 웃으며 가섭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에게는 정법안장(正法眼藏 : 인간이 원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덕)과 열반묘심(涅槃妙心 : 번뇌를 벗어나 진리에 도달한 마음), 실상무상(實相無相 : 불변의 진리), 미묘법문(微妙法門 : 진리를 깨치는 마음), 불립문자 교외별전(不立文字 敎外別傳 : 언어나 경전에 따르지 않고 이심전심으로 전하는 오묘한 진리)이 있다. 이것을 너에게 주마.” 이렇게 하여 불교의 진수는 가섭에게 전해졌다. 이심전심이라는 말이나 글이 아닌 마음과 마음으로 전하였다고 한데서 유래한다. 불교의 심오한 진리를 깨닫게 해주는 말이다. 현대의 텔레파시가 통한다와 유사한 의미이다.

 

이판사판(理判事判)

막다른 궁지' 또는 '끝장'을 뜻하는 말로 뾰족한 묘안이 없음을 비유한 말.

한자말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이다. 그리고 이 이판과 사판은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에 생성된 말이다. 조선은 건국이념으로 억불숭유(抑佛崇儒)를 표방하였다. 이것은 고려 말에 불교의 폐해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조선의 건국에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불교는 정권의 교체와 함께 하루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천민 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 또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데, 그 하나는 사찰(寺刹)을 존속시키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불법(佛法)의 맥()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雜役)에 종사하면서 사원을 유지하였다. 한편으로 이와는 달리 은둔(隱遁)하여 참선 등을 통한 수행으로 불법을 잇는 승려들이 있었다. 이를 두고 앞의 것을 사판, 뒤의 것을 이판이라 하였다. 결국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 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에 있어서는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 계층의 신분이었으며, 성의 출입 자체가 금지되어 있었다. 자연히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인생의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었다. 그래서 이판이나 사판은 그 자체로 '끝장'을 의미하는 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장로(長老)

힌두교불교 등에서 덕행이 높고 나이가 많은 비구(比丘)에 대한 통칭.

힌두교불교 등에서 덕행이 높고 나이가 많은 비구(比丘)에 대한 통칭, 또는 소()비구가 대()비구를 부를 때의 존칭이다.

 

전도(傳道)

종교적인 가르침을 널리 전파하는 일.

어떤 도(), 즉 종교적인 가르침을 널리 전파하는 일이다. 부처님이 처음 설법을 마치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 이제 전도를 떠나라...

 

주인공(主人公)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

사건(事件)이 있고 그 사건으로 이야기가 구성(構成)되는 한 편의 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언제나 그 사건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등장인물이다. 주인공이 있음으로써 그 이야기는 흥미진진(興味津津)하고 스릴 넘치는 파노라마를 연출(演出)한다. 그러나 주인공이란 낱말이 속세(俗世)를 벗어나 불교에 오면 아주 재미가 없어진다. 무색(無色) 무미(無味) 무취(無臭)의 진공(眞空)으로 사라져 버린다. 왜냐하면 원래 불교에서 '主人公'이란 낱말을 처음 사용하였을 때에는 득도(得道)한 인물(人物)을 가리키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외부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번뇌망상(煩惱妄想)에 흔들리지 않는 참된 자아(自我), 즉 무아(無我)를 누리는 자아를 일컫는 말이었다.

 

지사(知事)

어떤 분야에 일을 책임지는 것.

불교에서는 절의 용무를 맡아보는 것을 말한다.

 

지식(知識)

사람' 우리들 자신(自身).

"아는 것이 힘"이라는 서양(西洋)의 격언(格言)도 있고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저 부지런히 옛 것을 갈고 닦으며 알고자 애쓰는 사람입니다."라는 공자님의 말씀도 있거니와 인간세상은 태어나면서부터 알고자 하는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힘겨운 지적여행을 죽을 때까지 계속한다. '지식(知識)'이란 이렇게 ''을 뜻하는 추상명사(抽象名詞)라고 세상 사람들은 알고 있다. 그런데 불교에 오면 이것은 구상명사(具象名詞)로서 실체(實體)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면 그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곧 '사람' 우리들 자신(自身)이다. 다시 말하여 '지식(知識)'은 아는 사람이니, 우리가 사랑하는 이웃이요, 친구요 벗이다. 불교에서 '선지식(善知識)''불법(佛法)을 갈구하는 착하디 착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찰나(刹那)

불교에서 시간의 최소단위를 나타내는 말, 눈 깜짝할 새.

1찰나는 75분의 1(0.013)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설도 있다.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1찰나마다 생겼다 멸하고, 멸했다가 생기면서 계속되어 나간다고 가르치는데, 이것을 찰나생멸(刹那生滅)찰나무상(刹那無常)이라고 한다.

 

천상천하유아독존 (天上天下唯我獨尊)

석가가 태어났을 때 외쳤다고 하는 탄생게(誕生偈).

석가는 어머니 뱃속에서 나오자마자 일곱 발짝을 걸어가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게()를 외쳤다고 한다. 즉 이 우주만물 중에서는 내가 가장 존엄한 존재라는 뜻인데, 이것은 인간의 존귀한 실존성을 상징하는 말이며, 석가의 탄생이 속세로부터 성스러운 세계로의 초탈을 상징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말은 지금에 와서는 천하에 자기만큼 잘난 사람은 없다고 자부하거나 또는 그런 아집(我執)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전등록(傳燈錄)의 글귀를 소개하면, “석가모니불초생 일수지천 일수지지 주행칠보 목고사방왈 천상천하유아독존(釋迦牟尼佛初生 一手指天 一手指地 周行七步 目顧四方曰 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하였으며, 대장엄경(大莊嚴經)전법윤품(轉法輪品)에는 天上天下 唯我最勝이라고 되어 있다.

 

출세(出世)

보통 세상에 잘 알려지고 높은 지위에 오르는 것을 가리킴.

참으로 크게 의미(意味)가 변한 낱말이다. 보통 세상에 잘 알려지고 높은 지위에 오르는 것을 가리키지만 이 낱말은 불교에서는 아주 다른 뜻으로 쓰인다. 첫째, 보살이 중생의 세계에 출현하여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것을 뜻한다. 사람이 출세(出世)하여 만 사람이 행복(幸福)을 얻는다는 뜻을 감추고 있다. 둘째, 세상의 속연(俗緣)을 벗어나 불도수행(佛道修行)에 전념(專念)하는 것을 뜻한다. 출가(出家)와 같은 뜻이다. 셋째, 선종(禪宗)에서 학행(學行)을 마친 뒤에 은퇴장양(隱退長養)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Buddha-utpada, loka-uttara를 의역(意譯)한 말이다.

 

투기(投機)

사람들이 돈을 던져 기회를 잡는 것

불교에서의 뜻은 마음을 열어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으려한다는 뜻이다.

 

해탈(解脫)

인간의 근본적 아집(我執)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

인도사상(印度思想)불교는 이것을 종교와 인생의 궁극 목적으로 생각하였다. 즉 범부는 탐욕분노어리석음 등의 번뇌 또는 과거의 업()에 속박되어 있으며, 이로부터의 해방이 곧 구원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구원은 타율적으로 신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라 지혜, 즉 반야(般若)를 증득(證得)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는 데 특징이 있다.